번호 72 작성일 2025.7.16
제목 ZCB인증, 한국환경건축연구원 신규 인증기관 지정
내용

탄소중립건축인증협의회는 지난 15일 (사)한국환경건축연구원을 신규 인증기관으로 지정하고 인증제도의 발전과 기술교류를 위하여 MOU를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식을 통해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인증기관으로 한국환경건축연구원(KRIEA)이 추가 지정되어,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ZCB센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녹색기후기술원(KGCT), 키엘연구원(KIEL), 한국녹색건축기술협회(KOSATA),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KEGE)과 함께 총 8개의 기관이 인증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본 협약식에는 △탄소중립건축협의회(ZCBC) 태성호 대표, △한국환경건축연구원(KRIEA) 이경회 이사장, 이은정 원장, 박일수 부원장, 박명규 센터장, 조성훈 실장이 참석하여 국내 최초 건물부문의 전생애 주기 관점 탄소중립 성능 평가 제도인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의 활성화와 상호 협력체계를 약속하였다. 탄소중립건축인증(Zero Carbon Building Certification, ZCB인증)은 2023년 9월 시행된 건물부문(건축물·상점·건설현장)에서의 탄소배출량 및 탄소감축량에 대한 탄소중립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인증제도다. 특히, 탄소중립 성능 평가 방법에 대하여 국제표준인 ISO 14064-2:2019 및 ISO 14067:2018의 원칙에 타당성을 인정받은 인증제도이다. 탄소중립건축인증협의회 태성호 대표는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인증제도를 발전시켜 나가는 시점에서 20년 이상 중앙정부 중심의 인증제도를 운영해온 한국환경건축연구원이 이번에 탄소중립건축 인증기관으로 함께하게 된 것은, 민간 인증제도의 추진에 있어서 매우 큰 힘이자, 실질적인 운영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라며 “함께 협력하여 좋은 인증제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다. 한국환경건축연구원 이경회 이사장 또한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가장 신속하게 정책을 수립·실행해 나가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선진국에서 지금 해야 할 가장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며 “이 가운데 탄소중립은 특히 건축 관련 인증제도 중에서도 최우선적으로 중앙정부가 주목하고 관리해야 할 중요한 민간 인증제도이다”라고 말하였다. 이 외에도 한국환경건축연구원은 스마트기술 센터를 중심으로 탄소중립건축인증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며,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단순히 인증제도에 국한되지 않고, 탄소중립과 관련된 기술 부문과 연구 부문에서도 함께 성장하고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하였다. 탄소중립건축인증은 원활한 인증 운영, 기술 교류, 전문인력 양성 등을 목적으로 지난 2024년 2월 협약식을 통해 운영기관 및 인증기관을 지정한 바 있으며, 계속해서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인증 심사 및 기술 지원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환경건축연구원은 환경건축 분야의 학문적·기술적 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친환경 인증과 연구를 수행하는 전문기관이다. 녹색건축인증(G-SEED)을 비롯하여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제로에너지 건축물인증, 장수명 주택인증,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교육시설 안전인증 등 폭넓은 인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스마트 도시·건축 연구와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을 기반으로 한 리빙랩(Living Lab)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와 건축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 최초 생애주기 관점의 건물 탄소중립 관리제도 ZCB인증 보급 및 활성화를 통하여 지자체 설계기준 제정 등 공공부문 제도화를 끊임없이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부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국가 2030 NDC 및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기여하는데 있어서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는 시점, 한국환경건축연구원이 탄소중립건축인증의 인증기관으로서 연구 및 기술 교류를 통하여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내기를 기대한다. 탄소중립건축인증에 관한 문의는 탄소중립건축인증 홈페이지(http://www.zcb.or.kr) 또는 이메일 (zcb@zcb.or.kr)로 문의하면 된다. 출처 : 한국건설신문(http://www.conslov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