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관련 환경 문제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적절한 해답을 찾지 못한 채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이나 자원고갈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산업은 타 산업의 생산 활동에 비하여 막대한 자원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대량의 폐기물 배출이 불가피하여 지구의 환경부하를 증대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지속가능 건축재료(SBM)팀은 건설산업에서 발생하는 건설 폐기물의 원료를 분석 및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시멘트, 타일, 블럭 등)의 건설재료를 제조하고,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주요 연구로는 지속가능한 건축재료 개발의 기반이 되는 폐건설재료의 발생량 예측기법 구축연구와 발생된 다종의 건설 폐기물의 원료를 분석하여 건설재료를 재사용하는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개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Waste-related environmental problems are emerging as serious social problems without finding appropriate answers in all industries. With the rapid progres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depletion of resources worldwide,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umes enormous resources compared to other industrial activities, and it is emerging as a major cause of increasing environmental burden on the earth, due to the inevitable discharge of large quantities of waste. The Sustainable Building Material (SBM) team conducts research to develop a recycled construction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of various kinds (cement, tile, block, etc.) by analyzing and utilizing the raw materials of waste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main research areas are the construction of a prediction technique for the generation of waste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is the foundation of sustainable building materials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s that reuse construction materials by analyzing the raw materials of the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건축물 해체단계에서의 폐기물뿐만 아니라 건설단계 및 유지관리 단계의 전과정에 걸쳐 발생하는 폐기물의 예측 기법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건설산업 시공 및 해체폐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고 분류하여 다양한 재료로 활용 가능한 폐기물 발생 예측 기법을 제시한다. 예측 기법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로서 자재별 손실율, 폐기물 재사용 및 재활용율, 중량 환산계수를 도출하여 투입자재별 손실률의 보완을 통한 효과적인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We are developing waste prediction techniques that occur not only in the dismantling phase of the building but also throughout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hases. Our research proposes a waste generation prediction technique that predicts and classifies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stag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an be used as various materials. We have developed effective prediction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by supplementing loss ratio by input material by deriving weight conversion factor of waste reuse and recycling rate.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원료를 분석 및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시멘트, 타일, 블럭 등)의 건설재료를 제조하여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 건설재료를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로는 발생된 건설폐기물의 분류 및 화학 성분분석을 통해 건설폐재 원료 조합 DB를 구축연구, 폐 건설재료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개발 프로세스를 정립연구, 그리고 이를 활용한 건설재료를 지속적으로 완전 순환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 연구를 실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cycled construction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of various kinds (cement, tile, block, etc.) by analyzing and utilizing the raw materials of waste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main researches include the construction of DB of construction waste material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using waste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circular use of construction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