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내용 (Research content)

최근 지속가능건축이 국제사회의 패러다임으로 부각됨에 따라 건축물로부터 야기되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생산단계부터 해체단계까지의 환경성능, 에너지성능, 내구성능, 경제성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건축물 LCA 및 지속가능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지속가능건축 평가(SBA)팀은 국제적 표준을 준용하여 건축물의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을 포함한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과정 평가지침 및 평가 프로그램(S/W)개발과 이를 위한 LCI DB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Recently, sustainable architecture has become a paradigm of international society.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on building LCA and sustainability evaluation that integrates environmental performance, energy performance, durability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from the production stage to the demolition stage of a building.

평가지침, 지속가능 평가기술, DB구축 수행절차

LCA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평가 지침 개발 (Development of LCA database and evaluation guidelines)

LCA 데이터베이스 구축연구는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적인 연구이다. SBA팀은 건축자재 또는 에너지원 등에 따른 탄소배출계수, 국내외 LCI DB등을 분석하고, 환경부하 원단위 DB구축, 건축물 베이스라인산정, BIM과 연계한 BIM라이브러리 구축 등의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현재 국내외적으로 부재한 건축물의 LCA 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규격으로 제안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건축물의 환경성능 평가 관련 국제 표준규격(ISO)과 국내의 표준규격(KS), 국내외 건축물 환경성능 평가지침 등을 분석하고, 건축물 및 건축재료(콘크리트, 철근, 형강, 시멘트, 단열재 등)의 LCA를 위한 평가범위와 절차, 평가방법 등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LCA database building research is a key research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buildings. The SBA team analyzes carbon emission factors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LCI DBs of building materials or energy sources, and conducts research such as building environmental load bases, estimating building baselines, and building a BIM library linked to BIM. In order to develop the LCA guidelines for building structures that are not existing domestically and to propose them as standard standards, we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and the national standard (KS). We analyzed the domestic and overseas architectural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guidelines and developed standardized evaluation scope, procedures and evaluation methods for LCA of buildings and building materials (concrete, steel, steel, cement, insulation, etc.)

  •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 예시 그래프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 예시
    (공동주택의 탄소배출량 베이스라인 분석)
  • 건축물 LCA 지침 예시 문서 건축물 LCA 지침 예시
    (건축물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지침안)
  • 건축재료 LCA지침 개발 문서 건축재료 LCA지침 개발

지속가능 평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ustainable evaluation technology)

지속가능건축평가 기술 개발 연구는 건축관련 주체들이 해당 건축물의 국내외 LCA, LCC, VE등의 평가를 통해 친환경건축인증(G-SEED, LEED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지원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이다. 이는 지속가능건축물 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기술 (주요 건축자재 기반의 건축물 LCA 기술, Web 기반 건축물 LCA 평가 기술, 건축자재 물량 자동입력 기술, 대안평가 기술, 탄소성적표지인증 원단위 활용 기술 등)의 개발을 포함하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연계한 건축물의 LCA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The SUStainable Building Research Center aims to develop programs that makes it possible for architectural practitioners to easily carry out sustainable building certification (G-SEED, LEED, etc.) and to support decision-making through evalu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LCA, LCC. These include various element technologies used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building evaluation programs (such as Building LCA technology based on major building materials, web-based building LCA evaluation technology, technology for automatic input of building material quantity, alternative evaluation technology for carbon labeling certification, etc.). Also, SUStainable Building Research Center is carrying out research on LCA technology of buildings linked with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STEP-B 건축물 LCA 기술 웹화면 건축물 LCA 기술 예시
    (STEP-B)
  • STEP-C 건축재료 LCA 기술 웹화면 건축재료 LCA 기술 예시
    (STE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