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내 용
54 광명시 철산·구름산어린이집 탄소중립건축인증 취득

광명시가 건물 부문 탄소중립건축인증 등급을 처음으로 취득했다.

탄소중립건축협의회에서 발행하는 탄소중립건축인증은 자재 생산, 운송, 시공, 운영, 해체 및 폐기 등 건축물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이다.

시는 이번에 시립 철산어린이집이 탄소중립건축지수(ZCBI, Zero Carbon Building Index) 78.71%로 인증 2등급, 시립 구름산어린이집이 탄소중립건축지수 60.60%로 인증 3등급을 각각 취득했다.

1등급은 탄소중립건축지수 100% 이상, 2등급은 75% 이상, 3등급은 50% 이상이다. 탄소중립건축지수는 건축물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재, 운영 탄소배출량 대비 탄소저감량, 탄소흡수량, 탄소포집량, 탄소상쇄량 등 다양한 지표 산출을 통해 설정한 지수이다.

시립 철산어린이집과 시립 구름산어린이집은 국토교통부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에너지절감을 추진한 건물로, 각각 제로에너지건축물 2등급(자립률 79.27%)과 제로에너지건축물 3등급(자립률 53.77%)을 취득했다. 두 건물 모두 그린 리모델링 계획단계부터 저탄소 건물을 목표로 추진했으며 저탄소 자재를 사용해 내재탄소량을 고려했다. 시는 이번 인증 취득이 건축물의 운영 단계뿐 아니라 전 과정에서 탄소중립을 추구한 모범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는 녹색건축물 조례 개정 등을 통해 건물부문 탄소중립 정책을 확대하고 있으며 민간 건축물로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탄소중립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탄소중립 선도화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인천일보(https://www.incheonilbo.com)  /광명=장선 기자 now482@incheonilbo.com

53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국제 수준 신뢰성 확보

지난 3월 14일 탄소중립건축협의회에서 운영 중인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Zero Carbon Building Certification)에 대해 국제 온실가스 검증기관인 로이드인증원(LRQA)으로부터 ISO 14064-2:2019 및 ISO 14067:2018 원칙에 근거한 타당성 검토 보고서의 수여식이 있었다.
본 타당성 인정은 국내 최초의 건물부문 탄소중립 성능 평가 제도인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의 탄소중립건축지수(ZCBI)를 기반으로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전과정 탄소감축량 산정 방법, ▲ISO 14064-2:2019 원칙 4.1~4.7, ▲14067:2018 원칙 5.5~5.12의 정량적인 온실가스 산정 및 관리에 대해 부합한 것으로서 국제 수준의 신뢰성을 확보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번 수여식에는 △로이드인증원 이일형 대표이사, 김 달 실장 및 △한양대학교 에리카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 태성호 센터장, 장형제 부센터장, 왕성조 박사가 참석했다.
태성호 센터장은 “본 타당성 평가를 통해 탄소중립건축인증 평가 체계에 대한 공신력 확보뿐만 아니라 평가 프로그램 및 심사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정량적인 탄소중립 성능 평가 제도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며 “탄소중립건축인증을 통해 건설관련 다양한 산업 부문의 탄소중립 목표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라고 말했다.
한편 탄소중립건축인증은 지난 2월 탄소중립건축인증 운영기관 및 인증기관 협약식을 통해 ▲운영기관 한국건축시공학회,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지속가능스마트시티연구센터(한양대 에리카), ▲인증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한양대 에리카)로 지정하였다.

출처 : 한국건설신문(http://www.conslove.co.kr) / 김덕수 기자

52 광명시, ‘건설업체 수주 활성화 및 탄소중립 선도 전략’ 제1회 시·산·...

광명시(시장 박승원)는 19일 ‘광명시 건설업체 수주 활성화 및 탄소중립 선도 전략’을 주제로 제1회 시·산·학 포럼을 개최했다.

광명시 지역건설활성화협의회와 한양대학교 스마트환경ICC가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박승원 광명시장과 광명시 지역건설산업활성화 협의회 위원장인 정순욱 부시장 등 위원, 한양대학교 스마트환경ICC센터장 전병훈 교수를 비롯해 지역 건설기업인, 건설기술기업 대표, 건설 부문 관계 공무원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에서 고남석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 실장의 ‘광명시 건설업체 수주 활성화 전략’ 주제 강연과 장형제 한양대학교 스마트융합공학부 교수의 ‘스마트도시 건설을 위한 탄소중립 건축인증’ 주제 강연에 이어 질문답변이 이어졌다.

고남석 실장은 강연에서 ▲지역제한 및 지역의무공동도급 제도 혜택의 균등 배분 ▲관내 건설공사에 대한 지역업체 하도급 참여 확대 ▲민간공사 인·허가 시 지역업체 참여 확대 정책 마련 ▲산업단지 밖 지식산업센터 전문건설업체 입주 허용 등 광명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방안을 건의했다.

장형제 교수는 탄소중립 건축(Zero Carbon Building : ZCB) 인증의 배경과 개요를 설명하고 건설자제 제조, 수송, 선설시공, 건축물 사용, 건설폐기물 처리 등 전체적인 건축 과정에서 탄소감축이 탄소중립도시 실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광명시는 3기 신도시 등 도시개발을 통해 친환경 스마트도시로 나아가는 새로운 전환점에 놓여있다”며 “시·산·학 연대가 필요한 시점으로 서로 협력해 지역 건설산업 발전과 스마트도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시스템적 토대를 만들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시는 향후 재개발조합, 건설사 관계자 등을 초청해 포럼을 지속적으로 개최하며 대외협력 촉진하고 스마트 건설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출처 : 이뉴스투데이(http://www.enewstoday.co.kr) / [이뉴스투데이 수도권1취재본부 이배윤 기자]

51 탄소중립건축인증, 운영기관 및 인증기관 MOU 체결

탄소중립건축인증은 2월28일(수) 한양대학교 에리카 본관 PRIME컨퍼런스홀에서 인증제도의 발전과 기술교류를 위하여 운영기관과 인증기관을 구성하여 MOU를 체결하였다.
탄소중립건축인증(ZCB, Zero Carbon Building Certification)은 건물부문(건축물·상점·건설현장)에서의 탄소배출량 및 탄소감축량에 대한 탄소중립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인증제도이다.
이는 탄소중립 성능 정량 평가를 위한 핵심 기술인 건물 전과정(Life Cycle)에서의 탄소배출량 및 탄소감축량 산정 방법에 대하여 국제 온실가스 검증 기관으로부터 국제표준인 ISO 14064-2:2019 및 ISO 14067-2018 원칙에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국건축시공학회 이한승 회장,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정상화 회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양근혁 부회장, 지속가능스마트시티연구센터 태성호 센터장, KCL 스마트건설재료센터 이봉춘 센터장, KTC 탄소중립·환경사업본부 최현정 본부장,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 장형제 부센터장 등이 참석하고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 왕성조 박사가 사회를 맡았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건축뿐만 아니라, 건설·재료·구조·시공·유지관리·기계·전기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탄소중립건축인증은 △운영기관 “한국건축시공학회”,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지속가능스마트시티연구센터”, △인증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로 구성하는 것을 협약하였다.
탄소중립건축인증 운영기관과 인증기관은 ▲탄소중립건축인증 심사 ▲제도개선 및 활성화 방안 마련 ▲인증운영위원회 참여 및 기술협력 ▲전문인력 양성 ▲저탄소 기술 인증 등에 대한 상호 협업 체계를 구축할 것을 약속하였다.
지속가능스마트시티연구센터 태성호 센터장은 “이번 MOU 체결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민·관 상호 협력 체계 구축 및 탄소중립 기술 발전과 제도 마련의 초석”이라 말하며 “올 봄에는 다양한 관련 전문가를 초대하여 탄소중립건축인증 관련 사항 발표 및 토론회를 진행하는 탄소중립건축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출처 : 한국건설신문(http://www.conslove.co.kr)

12345